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에 위치한 자치현으로, 몽골어 "허보크"와 "사르"에서 유래된 명칭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의 지배를 받았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우순의 일부였고 이후 여러 왕조와 카간국의 지배를 거쳐 원나라에 병합되었다. 1954년 몽골족 자치현으로 개칭되었으며, 현재는 2개의 읍과 6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르바가타이 산맥과 사우르 산맥 사이에 위치하며, 구르반퉁구트 사막과 인접해 있다. 2018년 기준 인구는 약 5만 2천 명이며, 한족, 몽골족, 카자흐족 등이 거주한다. 장가르 서사시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국도 217호선과 쿠이툰-베이툰 철로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청 지구의 행정 구역 - 우쑤시
우쑤시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 중가리아 분지에 위치한 온대 기후 도시로, 석유 생산 중심의 경제를 가지며 한족, 후이족, 카자흐족, 위구르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312번 국도와 철도가 지나는 교통 요충지이지만, 신장 지역 정책 관련 인권 침해 논란이 있다. - 타청 지구의 행정 구역 - 위민현
위민현은 몬순 기후의 영향으로 계절별 변화가 뚜렷하고 연평균 기온 13.4℃, 강수량 1,300~1,400mm, 습도 77%, 일조량 2,200시간을 나타내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농업과 관광업이 발달했지만 최근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구 감소 추세에 있다. -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자치현 -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슈가르 지구의 자치현으로, 파미르 고원 동부에 위치하며 여러 산맥이 만나는 지점에서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파키스탄, 인도와 국경을 접하고, 역사적으로 실크로드의 오아시스였으며 현재는 타지크족이 다수이고 축산업,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카라코람 하이웨이가 지나가는 교통 요지이다. -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자치현 - 바리쿤 카자흐 자치현
바리쿤 카자흐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하미시에 위치하며, 톈산 산맥과 고비 사막이 분포하고 자원 기반 산업, 농업, 축산업,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한족, 카자흐족, 몽골족 등이 거주하는 자치현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족 자치지방 -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쑹위안 시에 위치하며 1956년에 설치되었고, 차간호가 있으며 쾨펜의 습윤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족 자치지방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는 칭하이성 서부에 위치하며 티베트고원 북부의 차이다무 분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민족(한족, 티베트족, 몽골족, 후이족 등)이 거주하는 자치주로, 3개의 현급시, 3개의 현, 1개의 행정위원회를 관할하며 차카 염호와 칭하이-티베트 철도가 있다.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기타 명칭 | Qobuqsar Hefeng |
공식 명칭 | 화보크사이르 몽골 자치현 중국어: 和布克赛尔蒙古自治县 위구르어: قوبۇقسار موڭغۇل ئاپتونوم ناھىيىسى 카자흐어: قوبىقسارى موڭعۇل اۆتونوميالىق اۋدانى 몽골어: ᠬᠣᠪᠣᠭᠰᠠᠶᠢᠷ ᠮᠣᠩᠭᠣᠯ ᠥᠪᠡᠷᠲᠡᠭᠡᠨ ᠵᠠᠰᠠᠬᠤ ᠰᠢᠶᠠᠨ |
지리 | |
위치 |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위치 |
좌표 | 북위 46° 47' 동경 85° 43' |
면적 | 28,784 km² |
행정 구역 | |
행정 단위 | 2개의 진(镇)과 5개의 향(乡) |
현 소재지 | 화보크사이르 진(和布克赛尔镇) |
인구 | |
총 인구 (2020년) | 61,785명 |
일반 정보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자치주 | 타청 지구(塔城地区)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 834400 |
지역 번호 | 0901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허부커싸이얼'(Ховогсайрmn)이라는 이름은 몽골어에서 유래했다. 이 이름은 '허보크'(ховогmn)와 '사르'(сайрmn)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허보크'는 '허보크 강'을 가리키며, '사슴'을 의미한다. 과거에 이 강 유역에 사슴이 많이 살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사르'는 '살라이르 산맥'을 의미하는데, 이는 말의 등처럼 생긴 산의 모양에서 유래한 이름이다.[3]
최소한 청나라 시대부터 현재의 허부커싸이얼 지역에는 사카족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우순과 흉노족이 차례로 나타났다.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은 타르바가타이 산맥-사우르 산맥의 남쪽에 위치한다. 현 인구의 대부분이 거주하는 북부 지역은 눈 덮인 산에서 흘러내리는 하천(예: 바이양강)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현의 남동부 지역은 구르반퉁구트 사막의 일부이다.
연평균 기온은 3°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42mm이다.
호보크사르 현은 2개의 읍과 6개의 향을 관할한다.[8]
3. 역사
이 지역은 한나라 시대에는 우순의 일부였고, 후한 및 삼국 시대에는 거사후국에 속했다. 남북조 시대에는 진나라 시기 선비족의 영역이었으며, 이후 유연 카간국, 돌궐 제1 카간국, 서돌궐 카간국의 지배를 받았다. 657년에는 당나라의 곤릉도호부 관할 아래 들어갔고, 이후 789년에는 카를루크, 808년에는 위구르 카간국, 840년에는 키르기스 카간국, 1127년에는 카라 키타이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1218년 원나라에 편입되었고, 1225년에는 오고타이 칸의 영지가 되었으며, 1280년부터는 별발리크 성(베이팅)과 알마리크 성의 영역에 속했다. 1324년부터 1328년까지는 차카타이 칸국에 속했다.
1370년에는 동차카타이 칸국(별발리크 카간국)의 일부였으며, 15세기에는 오이라트 부족의 주요 목초지였다. 바투르가 1636년 ''콩 타이지'' 칭호를 계승한 후, 허부커싸이얼을 거점으로 삼아 북부 신장의 오이라트 부족들을 빠르게 통합했다. 바투르는 1639년부터 1643년 사이에 현재 현청 소재지인 ''허부커싸이얼 진''에서 남동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 성을 건설했다.[4]
1758년, 허부커싸이얼 지역은 청나라 이리 장군 휘하의 타르바가타이 참찬대신(塔爾巴哈臺參贊大臣중국어, 현재의 타청 지구) 관할 아래 놓였다. 1771년에는 토르구트 부족이 러시아 볼가강 남쪽 지역에서 이곳 허부커싸이얼로 이주해 왔다.[3]
1915년에는 샤완 현 관할 하에 허스토르가이 현좌(和什托洛蓋縣佐중국어, 부현 현감 산하의 부서와 유사함; 현재의 허스토르가이에 위치)가 설치되었고, 1916년에는 타청도(塔城道중국어)로 이관되었다. 허스토르가이 현좌는 허스토르가이 설치국(和什托洛蓋設治局중국어)으로 변경되었고, 1941년에는 허펑 설치국(和豐設治局중국어)이 설립되었다. 허펑 현(和豐縣중국어)은 1944년에 조직되었으며, 현청은 현재의 허부커싸이얼 진에 있다. 허펑 현은 1954년 9월 10일에 허부커싸이얼 몽골족 자치현으로 개칭되었다.[5]
4. 지리
역사적으로 거대한 알란 누르와 마나스 호는 현의 사막 남서부에 있었으며, 북쪽에서 사막을 가로질러 흐르는 하천과 남쪽(마나스강)으로부터 간헐적으로 물을 공급받았다. 그러나 관개 및 기타 용수를 위한 물 사용 증가와 지질학적 과정으로 인해 알란 누르는 완전히 말랐고, 마나스 호 또한 상당히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 있다.[6]
21세기 초에 건설된 이르티쉬-카라마이 운하는 현의 남동부를 가로지르며, 운하의 펑청 저수지는 카라마이 시 우르호 구와의 경계에 위치한다.
허투고(Hoxtolgay) 진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약 48.28km 떨어진 지점은 ''기네스 세계 기록''에 의해 바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지점은 북극해에서 약 2646km, 벵골 만과 아라비아해에서도 비슷한 거리에 위치한다(다른 후보에 대해서는 대륙 접근 불능 극 참조).
현의 이러한 지리적 특징은 코로나 맥주 브랜드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 광고주들은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의 카간콜 향(Qagankol Township)에 위치한 불린(布林) 마을 주민 몇 명을 하이난 섬 해안으로 여행시키는 것을 기획하고 기록했다.[7]
5. 기후
6. 행정 구역
이름 중국어 간체 한어 병음 몽골어 (전통) 몽골어 (키릴 문자) 위구르어 (UEY) 위구르어 라틴 (ULY) 카자흐어 (아랍 문자) 카자흐어 (키릴 문자) 행정 구역 코드 읍 호보크사르 읍 和布克赛尔镇중국어 Hébùkèsài'ěr Zhèn ᠬᠣᠪᠣᠭᠰᠠᠶᠢᠷ ᠬᠣᠲᠠ Хувсайр балгасmn قوبۇقسار بازىرىug qobuqsar baziri قوبىقسارى قالاشىعىkk Қобықсары қалашығы 654226100 호토르가이 읍 和什托洛盖镇중국어 Héshítuōluògài Zhèn ᠬᠣᠣᠰᠲᠣᠯᠣᠭᠠᠢ ᠪᠠᠯᠭᠠᠰᠤᠨ Хостолгой балгасmn قوشتولغاي بازىرىug qoshtolghay baziri قوستولعاي قالاشىعىkk Қостолғай қалашығы 654226101 향 샤즈가이 향 夏孜盖乡중국어 Xiàzīgài Xiāng ᠱᠠᠭᠠᠵᠠᠭᠠᠢᠲᠤ ᠰᠢᠶᠠᠩ Шаазгайт шиянmn شازغەت يېزىسىug shazghet yëzisi شازعەت اۋىلىkk Шазғет ауылы 654226200 테브키누산 향 铁布肯乌散乡중국어 Tiěbùkěnwūsàn Xiāng ᠲᠡᠪᠬᠡᠨ᠋ᠤᠰᠤᠨ ᠰᠢᠶᠠᠩ Дэвхөнөөсөн шиянmn تېبكىن ئۇسان يېزىسىug tëbkin Usan yëzisi تەكپىسۋ اۋىلىkk Тәкпісу ауылы 654226201 차간쿨레 향 查干库勒乡중국어 Chágànkùlè Xiāng ᠴᠠᠭᠠᠨ ᠭᠣᠤᠯ ᠰᠢᠶᠠᠩ Цагаан гол шиянmn چاغانكۆل يېزىسىug chaghanköl yëzisi شاعانكول اۋىلىkk Шағанкөл ауылы 654226202 바야오보 향 巴音傲瓦乡중국어 Bāyīn'àowǎ Xiāng ᠪᠠᠶᠠᠨ᠋ᠣ᠋ᠪᠣᠭᠠ ᠰᠢᠶᠠᠩ Баянөваа шиянmn بايىن ئاۋۋا يېزىسىug bayin Awwa yëzisi بايىنوبا اۋىلىkk Байыноба ауылы 654226203 모트게 향 莫特格乡중국어 Mòtègé Xiāng ᠮᠥᠲᠥᠭᠡᠢ ᠰᠢᠶᠠᠩ Мөтүгэй шиянmn مۆتگې يېزىسىug mötgë yëzisi موتكە اۋىلىkk Мөтке ауылы 654226204 차허트 향 查和特乡중국어 Cháhétè Xiāng ᠴᠠᠬᠠᠲᠤ ᠰᠢᠶᠠᠩ Цахад шиянmn چاخېت يېزىسىug chaxgët yëzisi شاعىتى اۋىلىkk Шағыты ауылы 654226205
기타 관할 구역:
7. 인구
허부커싸이얼몽골자치현의 인구는 2018년 기준으로 52,350명이다.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 | 인구 | 비율 |
---|---|---|
한족 | 18,054 | 34.49% |
몽골족 | 17,094 | 32.65% |
카자흐족 | 15,210 | 29.05% |
위구르족 | 1,074 | 2.05% |
후이족 | 483 | 0.92% |
기타 | 435 | 0.83% |
이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 몽골족은 다양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 다수는 토르구트족으로, 오이라트어를 사용한다. 내몽골 자치구에서 이주해 온 차하르 몽골족도 있으며, 일부 외부 관찰자들에게는 투바인으로 여겨지는 우리앙카이족 몽골족도 거주한다. 또한 상당수의 다우르족과 둥샹족이 거주하며 이들은 몽골어족 언어를 사용한다.[13]
8. 문화
허부커싸이얼은 전통적으로 장가르 서사시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2014년에는 현(縣)에 장가르 문화 예술궁(江格尔文化艺术宫)이 문을 열었다.[14][15]
9. 교통
국도 217호선과 새로운 쿠이툰-베이툰 철로가 호보크사이얼 몽골 자치현을 남북 방향으로 통과한다. 호토가이 역에서 매일 여객 열차가 운행된다.
참조
[1]
웹사이트
Xinjiang: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http://www.citypopul[...]
[2]
웹사이트
和布克赛尔县概况
http://www.xzqh.org/[...]
xzqh.org
2014-12-04
[3]
웹사이트
和布克赛尔县历史沿革
http://www.xzqh.org/[...]
xzqh.org
2014-12-04
[4]
간행물
The Physical Remains of the Zunghar Legacy in Central Eurasia: Some Notes from the Field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6
[5]
웹사이트
和布克赛尔概况
http://www.xjhbk.gov[...]
Hoboksar.gov.cn
2019-08-27
[6]
학술지
Tectonic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volution of the Manas Lake
http://jal.xjegi.com[...]
[7]
웹사이트
Corona Extra: A Journey From ‘The Pole Of naccessibility’
http://advertising.c[...]
[8]
웹사이트
2022年统计用区划代码和城乡划分代码:和布克赛尔蒙古自治县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9]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10
[10]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10
[11]
웹사이트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old-cdc.cma.g[...]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05-25
[12]
웹사이트
Hoboksar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cei.noa[...]
NOAA
[13]
서적
China's Last Nomads: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ina's Kazaks
M.E. Sharpe
[14]
웹사이트
Jangar Palace Opens in Xinjiang’s Hoboksar
http://www.bruce-hum[...]
[15]
웹사이트
世界最大的江格尔文化艺术宫建成投用
http://www.chinawrit[...]
[16]
웹사이트
忠诚履职,为夺取疫情防控的全面胜利贡献检察力量
https://kuaibao.qq.c[...]
[17]
웹인용
3-7 各地、州、市、县(市)分民族人口数_人口与就业_新疆维吾尔自治区统计局
http://tjj.xinjiang.[...]
2022-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